

CGV 명동역에서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의 시사회 및 GV가 있었다.
영화 상영 후 씨네라이브러리에서 진행된 GV에는 김초희 감독과 강말금, 배유람 배우가 참석했다.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는 김초희 감독의 장편영화 데뷔작이고
찬실은 예술영화를 찍는 감독 밑에서 오랫동안 프로듀서로 일을 해온 마흔 살의 노처녀다.
감독의 급사로 참여하고 있던 영화가 엎어지자 찬실은 백수 신세가 되고 만다.
찬실은 영화 밖에 모르는 인생을 살아왔기에 영화 일이 끊기게 되자 앞날이 막막했다.
어느새 불혹의 나이인데 성공을 보장할 수 없는 영화 일을 계속해야 할지
지금이라도 다른 일을 찾아야만 할지 찬실의 가슴속은 답답하기만 했다.
찬실이 새로 이사한 산동네의 주인집 할머니 역으로 윤여정,
찬실을 친누나처럼 따르는 예쁜 여배우 소피 역으로 윤승아,
소피에게 불어를 가르치는 가정교사 김영 역으로 배유람,
찬실의 옆방에 출몰하는 수상한 남자 장국영 역으로 김영민,
영화사 대표 역으로 최화정 배우 등이 출연한다.

주인공 찬실은 모아놓은 돈도 없고 연인도 없고 안정된 직장도 없는 N포세대를 대변하는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찬실은 영화 일감이 없어진 후 후배인 여배우 소피의 집에 가사도우미로 출근을 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소피에게 프랑스어를 가르치느라 가정교사로 드나드는 감독지망생 영을 알게 된다.
영은 소피보다도 어린 연하의 남자였음에도 찬실의 가슴은 왠지 모르게 뛰었다.
영화를 보며 인상에 남는 장면 중 하나는
찬실이 가사도우미 일을 마치고 영과 함께 귀가하던 중에 한양도성 성곽길을 배경으로 둘이 포옹하는 대목이다.
찬실은 영에게 남자에게 안겨본 지 오래되었다고 털어놓은 후 꽉 끌어안아달라고 포옹을 갈망하는데
이 장면은 현실이라기보단 찬실의 망상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수수께끼의 남자 장국영의 존재와 연관지어볼 때에도
정신적으로 황폐해진 찬실이 정신상태가 더 이상 붕괴되는 것을 막고자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서 만들어낸 허구의 기억이나 대상이 아니었을까 싶다.

N포세대는 꿈을 실현하기 힘든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서글픈 세대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꿈꾸기를 포기하지는 말자.
이 영화를 보면서 그런 메시지가 느껴졌다.
찬실이는 복도 많지라는 영화의 제목은 어쩌면 반어법일 수도 있겠지만
지금은 힘들지라도 앞으로는 좋은 일이 일어날 거야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응원일 수도 있는 것이다.
잊고 지냈던 꿈을 생각해보게 하는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의 개인적 평점은
★★★★★★★★☆☆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 GV.
GV는 약 30분 간 진행되었다.
강말금 배우의 사투리가 섞인 억양은 연기가 아니라 실제 모습 그대로였다.


덧글